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데브옵스
- 컨테이너
- 인프라
- ios
- 쿠버네티스
- 도커 명령어
- Python
- 프로세스
- docker
- boj
- 클라우드
- centOS
- AWS
- os
- NGINX
- 도커
- swift 클로저
- Swift
- 네트워크
- devops
- C++
- 운영체제
- kubernetes
- centOS7
- 도커 이미지
- 도커 컨테이너
- k8s
- 리눅스
- 부스트코스
- linux
Archives
- Today
- Total
귀염둥이의 메모
[JSP/Servlet] 서블릿 맵핑 본문
반응형
서블릿 맵핑 방법
web.xml
에 맵핑- Annotaion 사용
1. web.xml
에 맵핑
<servlet>
<servlet-name>TestServlet</servlet-name>
<servlet-class>com.servlet.TestServlet</servlet-class>
</servlet>
<servlet-mapping>
<servlet-name>TestServlet</servlet-name>
<url-pattern>/ts</url-pattern>
</servlet-mapping>
TestServlet이란 이름을 가진 servlet-name을 가지고 만들어준다.
TestServlet을 가르키는 곳을 servlet-class에 적어준다.<servlet></servlet>
밑에 <servlet-mapping></servlet-mapping>
을 추가한다.<url-pattern>
servlet-class의 클래스를 매핑할 이름('/' 으로 시작하는)을 입력한다.
2. Annotation 사용
@WebServlet("/ts") <-- Annotation
public class TestServlet extends HttpServlet {
...
..
.
Annotation을 이용하면 더 간단하다.
@WebsServlet("맵핑할 이름")
2개의 방법 모두http://localhost:8090/ts
으로 접속가능
반응형
'CS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Servlet] 서블릿 request, response 그리고 doPost(), doGet() (0) | 2020.08.04 |
---|---|
[JSP/Servlet] JSP & Servlet (0) | 2020.08.04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