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ra & Devops
온프레미스 (On-Premise) 인프라와 네트워크
겸둥이xz
2021. 12. 5. 19:57
반응형
온프레미스 (On-Premise)
SW 등의 솔루션을 클라우드와 같은 원격 환경이 아닌 자체적으로 보유한 전산실 서버에 직접 설치하여 운영하는 방식
전통적인 인프라
- 랙 (Rack)
- 네트워크 / 보안 장비
- 서버
- 스토리지 (Storage)
1. 랙 (Rack)
- 서버와 네트워크 장비를 수용하는 장비
- IDC (Internet Data Center) 에 배치되어 있음
2. 네트워크 장비
- L2 Switch : 서버가 연결되는 스위치
- L3 Switch : 인터넷 회선이 연결되는 장비 (라우터 or L3 Switch)
- L4 Switch : 서버를 이중화 해주는 장비 (로드 밸런싱 장비 / Server Load Balancing)
3. 서버
- 서비스가 올라가는 장비
- CPU, Memory, 디스크(HDD)를 가지고 있는 장비
- 1) 물리 서버와 2) 가상 서버로 나누어짐
1) 물리 서버
: 물리적인 서버를 의미한다. 서비스에는 Web, WAS, DB Server 가 사용된다. DB Server는 주로 물리 서버를 사용한다.
*I/O 작업이 많은 DB들은 가상 서버에서 느리기 때문에, 물리 서버를 권장한다
2) 가상 서버
: Web Server 에 주로 사용한다.
서버 이중화
웹 서버, WAS 서버, DB 서버 이중화를 위해서 물리적으로 2개의 랙에 분산 배치한다.
=> Switch 가 죽더라도 서비스는 계속되어야 하기 때문에
4. 스토리지
- NAS (Network Attached Storage)
- 웹 서버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파일을 공유하고, 저장된 파일의 정보를 여러 서버에 공유한다
- 네트워크가 불안정하면 트래픽 문제, Latency 증가로 대규모 처리에서 성능 문제가 발생가능
- SAN (Storage Area Networking)
- 높은 신뢰성, 빠른 전송, DB 이중화 시 사용
- 초기 구축 시 많은 비용이 발생
References
https://brunch.co.kr/@topasvga/6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