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devops
- 프로세스
- AWS
- Python
- 도커 이미지
- 인프라
- kubernetes
- C++
- 도커
- NGINX
- os
- 데브옵스
- 운영체제
- Swift
- 리눅스
- linux
- 컨테이너
- 클라우드
- 도커 명령어
- 네트워크
- boj
- 쿠버네티스
- 도커 컨테이너
- docker
- ios
- centOS
- swift 클로저
- k8s
- centOS7
- 부스트코스
- Today
- Total
목록Network (2)
귀염둥이의 메모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자원을 구분하는 식별하고 위치를 지정 URI의 두 가지 형태에는 URL, URN이 있다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리소스에 대한 구체적인 위치 리소스가 정확히 어디에 있고, 어떻게 접근할 수 있는지 알려줌 어디에 있는지 말하는 Where의 개념 리소스가 옮겨지면 해당 URL은 사용할 수 없다 오늘날의 대부분의 URI는 URL http://example.com/mypage.html - 실제 사이트 URL http://news.naver.com/main/main.nhn?mode=LSD&mid=shm&sid1=104 - 네이버뉴스에서 분류중 "세계"주제의 기사에 대한 URL ..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호스트 동적으로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DNS 서버를 할당해주는 UDP 기반 프로토콜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다른 망과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를 알아햐하고 IP 주소 대신 이름을 사용해서 통신을 하기 위해 DNS 주소라는 것이 필요합니다. 일반 사용자들이 해당 주소들을 직접 설정하는 것은 매우 복잡하고 DHCP는 이 것들을 자동으로 할당해줍니다. DHCP는 호스트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려고 할 때마다 동적으로 IP를 할당해줍니다. 보통 호스트가 IP주소를 할당 받을 때 영구적으로 할당받는 것이 아니고 임대 기간(Lease time) 기간 동안에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