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NGINX
- 도커
- 인프라
- 운영체제
- 프로세스
- Python
- 클라우드
- kubernetes
- devops
- centOS7
- swift 클로저
- 부스트코스
- 리눅스
- 쿠버네티스
- 데브옵스
- C++
- ios
- centOS
- linux
- 도커 이미지
- os
- 도커 명령어
- boj
- 네트워크
- AWS
- 컨테이너
- 도커 컨테이너
- Swift
- k8s
- docker
- Today
- Total
목록page (3)
귀염둥이의 메모

Valid / Invalid Bit in a Page Table page table 엔트리에는 사용되지 않는 부분도 만들어져야 한다 6, 7번의 페이지는 없지만 주소체계에서는 6, 7번 테이블 페이지는 만들어지고 invalid라고 표시 Memory Protection : Page table의 각 entry 마다 아래의 bit을 둔다 Protection bit page에 대한 접근 권한(read/write/read-only) Valid-invalid bit valid는 해당 주소의 frame에 그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유효한 내용이 있음을 뜻한다 (접근 허용) invalid는 해당 주소의 frame에 유효한 내용이 없음을 뜻함 (접근 불허) Inverted Page Table Page table이 매우 큰 ..

물리 메모리인 RAN의 용량 확장에는 많은 제약이 있다. 같은 용량의 디스크에 비해 가격이 매우 비싸고, 시스템 메인보드에 연결할 수 있는 슬롯에도 제한이 있어 무한정 확장이 불가능하다. 물리 메모리가 부족한 경우를 해결하기 위해 운영체제가 사용하는 방법은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이다. 가상 메모리는 RAM + 스왑(SWAP)이다. 스왑은 디스크 장치에 생성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윈도우에서는 페이징(Paging) 파일 관리를 하고, 리눅스에서는 스왑 파티션 영역이 있다 운영체제의 가상 메모리를 관리하는 가상메모리 관리자는 물리 메모리와 스왑 영역을 합산하여 가상 메모리로 사용한다 스왑 영역을 물리 메모리처럼 사용할 수 있다고 해서, CPU가 스왑 영역에 있는 데이터를 직접 접근하여 읽을 수..

Logical address (=Virtual address) 각 프로세스마다 독립적으로 가지는 주소 공간 각 프로세스마다 0번지부터 시작 CPU가 보는 주소는 logical address임 메모리에 올라갈 때 시작 위치는 바뀌지만 그 안에 있는 코드 상의 address는 그대로이다 Physical address : 메모리에 실제 올라가는 위치 Symbolic Address : 프로그래머 입장에서 보는 Symbol로 표현한 주소 (변수) 주소 바인딩(Address Binding) Complie Time Binding 물리적 메모리 주소(Physical address)가 컴파일 시 알려짐 컴파일러는 절대 코드(absolute code) 생성 이미 결정된 Logical address가 Physical add..